별바라기 별자리 성도
천문 소프트웨어 별바라기를 활용하여 만든 별자리 성도이다.
제작 동기
- 인터넷에서 별자리를 검색하면 대부분 영어 성도가 보인다. 이것을 한글 성도로 바꾸고 싶었다.
2025년 3월부터 위키백과, 나무위키에서 별자리를 검색하면 별바라기 성도가 표시될 것이다.
- 성도 작성은 별바라기의 초기 개발 목표 중 하나이다.
참조: 응답하라 1994.
작성 기준
- 국제천문연맹(IAU)에서 작성한 성도와
유사하게 작성했다.
- 6 또는 6.2 등급까지의 별을 표시한다. 6.01 ~ 6.2 등급 사이의 별들이 바이어 문자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.
6.2 등급보다 어두운 별은 바이어 문자가 있어도 표시하지 않는다.
- 별의 이름은 널리 알려진 것만 표시한다.
- 모든 메시에 대상 및
멋진 NGC 100선,
도전 목록에
포함되는 성운·성단·은하를 표시한다.
- 우주 망원경 또는 유명 천문대에서 발표한 사진에 나오는 대상을 표시한다.
- 산개성단, 구상성단, 은하는 각각 6, 10, 10등급보다 밝은 대상을 표시한다.
- 궁수자리의 초대질량 블랙홀, 세종실록에 기록된 전갈 신성 1437을 표시한다.
- 별자리 모양선은 『재미있는 별자리 여행』을 참고했다.
남반구 별자리는 고천문도의 그림을 참조하여 최대한 유사하게 모양선을 연결했다.
다운로드 및 보기
고민꺼리
국제천문연맹(IAU) 88개 별자리
- 1922년 첫 번째 IAU 총회의 기호 및 단위 위원회는 전체 하늘을 아우르는 89개의 별자리를 승인하고,
이들의 라틴어 이름 및 세 글자 약어, 라틴어 소유격을 정했다. 88개가 아닌 89개이다 ^^ [참고 1].
- 1925년 두 번째 IAU 총회에서 벨기에 브뤼셀 왕립천문대의 외젠 델포르트가 별자리 경계 시스템을 제안했다.
- 1930년에는 최종 결과물이 『별자리의 과학적 경계 설정 Délimitation Scientifique des Constellations』에 발표되었다 [참고 2].
이때, 현대 별자리 88개가 확정되었다.
- 따라서 여러 별들이 이루는 상상의 모양에서 시작된 별자리는 과학적으로 정의된 하늘의 영역이 되었다.
물론 우리는 별자리 모양을 더 좋아한다.
- IAU는 라틴어 별자리에 대한 모범 발음도 제시한다.
- 참조: IAU: The Constellations
참고문헌
- Proceedings of the 1st General Assembly, Rome, Italy, May 2 - 10, 1922.
이곳에는
'아르고' 별자리도 포함되어 있다.
즉, 총 89개의 별자리 이름을 인정했다.
- E. Delporte, 『IAU Délimitation Scientifique des Constellations 별자리의 과학적 경계 설정』, 1930.
별바라기 홈 최종 변경: 2024년 05월 18일